J Korean Med Assoc Search

CLOSE


J Korean Med Assoc > Volume 65(10); 2022 > Article
코로나19 범유행과 만성질환

Abstract

Background: Chronic diseases contribute to 74% of annual global deaths.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further aggravated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s. The reasons for this adverse impact must be elucidated to develop an appropriate response.
Current Concepts: COVID-19 increases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 in three ways. First, chronic disease comorbidities are associated with a higher severity and fatality rate in patients with COVID-19. Second, the post COVID-19 condition results in chronic health problems. Lastly, a disruption in the system for chronic disease screening and care was observ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iscussion and Conclusion: Strong efforts are needed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chronic diseases, and to re-establish an effective system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서론

만성질환은 비전염성 질환(noncommunicable disease)이라고도 하며, 매년 전 세계에서 41,000,000명 이상의 사망을 일으켜 세계 모든 사망의 74%에 기여하고 있다[1]. 세계보건기구는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국제행동계획(Global Action Plan)에서 주요 만성질환으로서 심뇌혈관질환, 암, 당뇨병 및 만성호흡기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2025년까지 25% 줄일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2]. 우리나라의 경우, 10대 사망원인에는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간질환, 고혈압성 질환의 7개 원인이 포함되어 만성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한다[3].
최근 범유행(pandemic)으로 전 세계에서 많은 환자와 사망자를 내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는 만성질환과의 여러가지 연관성으로 인해 인구집단의 건강문제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만성질환의 질병부담이 크기 때문에,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악화된다면 그 피해는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사망자는 처음부터 최근까지 657만 명으로 추산된다[4]. 이에 비하면 만성 질환은 코로나19보다 더 큰 범유행으로 이미 지속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만성질환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어느 때라도 중요하지만 이제 범유행의 정점을 지나 보건 의료체계의 회복을 위해 애쓰는 시점에서 더욱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따라서 코로나19가 만성질환과 어떻게 연관되어 문제를 일으키는지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는 코로나19와 만성 기저질환의 관계, 만성 코로나19 증후군, 그리고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만성질환 관리체계의 위축이다.

코로나19와 만성 기저질환

만성 기저질환이 코로나19 중증도와 사망위험을 높이는 것은 비교적 초기부터 관찰되었다. 중국의 유행 초기 연구들은 코로나19 중증환자에게서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고혈압, 호흡기질환, 심혈관질환 등의 기저질환이 더 많다는 것을 보고하였다[5]. 미국의 코로나19 환자 코호트 연구에서는 나이를 보정하고도 동반질환이 많을수록 중증도와 사망 위험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6,7]. 영국의 1차 진료(general practice) 기반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서는 약 1,700만 명의 성인환자 중 1만여 명의 코로나19 관련 사망자를 분석하여, 만성 기저질환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코로나19 사망위험을 유의하게 높였던 만성질환에는 호흡기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암, 간질환, 뇌졸중, 콩팥기능저하 등이 포함되었다[8].

만성 코로나19 증후군

코로나19 감염자의 일부는 만성적인 증상을 경험하며, 이는 새로운 종류의 만성질환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이해하고 대응하기 위해 다학제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9]. 다학제 협력을 위해서는 개념의 통일이 중요하다. 여러 연구자와 기관에서 다양하게 용어를 정의하여 쓰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표준화하려는 노력으로 세계보건기구는 200여 명의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합의를 도출하였고, “post COVID-19 condition”이라는 이름으로 임상적인 정의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질병관리청과 대한감염학회가 국내외 여러 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를 하여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 chronic COVID-19 syndrome)”으로 용어를 정하고 이를 “코로나19 진단 12주가 지나서도 다른 질환으로 설명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증상/징후가 지속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10]. 주요 증상으로는 일반적으로 피로감, 호흡곤란, 인지저하, 그리고 우울과 불안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증상은 급성기 코로나19 증상에서 계속되거나 급성기 이후 새로 시작될 수도 있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동하거나 재발할 수 있다.
만성 코로나19 증후군은 인구집단에 적지 않은 질병부담을 줄 수 있다. 최근의 한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환자 중에서 진단으로부터 90일 추적시점에서 만성 코로나19 증후군의 유병률은 32%였으며, 빈도가 가장 높은 세 증상은 피로감, 기억장애, 호흡곤란이었다[11]. 만성 코로나19 증후군에 포함되는 증상들은 매우 다양하여, 이 연구에서는 20여 가지의 증상을 제시하였다. 국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진단으로부터 1년 후 조사에 참여한 241명의 환자 중에서 127명(52.7%)이 관련증상을 지속적으로 겪었고, 12명(5%)은 외래치료가 필요하였다[12]. 이미 그동안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매우 많았고, 앞으로 완전한 일상회복 상태에서 코로나19가 풍토병으로 지속되거나 새로운 변이종으로 인한 재유행의 가능성을 고려할 때, 만성 코로나19 증후군은 세계적으로 매우 심각한 공중보건문제라는 시각이 타당할 수 있다[13].

범유행 시기 만성질환 관리의 위축

범유행 시기에는 평상시에 비해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 이용이 줄어든 것이 확인되었다. 한 메타분석에서는 범유행 이전에 비해 이후에 유방촬영술, 대장내시경, 자궁경부 세포진에 의한 암 검진이 뚜렷이 줄어든 것을 보고하였다[14]. 심혈관질환 관리에 대한 메타분석에서는 범유행 기간에 심혈관질환 환자의 입원과 시술 및 외래진료가 줄어들고, 병원과 지역사회의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늘어났다[15]. 미국의 한 조사에서는 성인의 41%가 2020년 상반기에 코로나19로 인해 진료를 미루거나 피하였고, 12%는 응급의료도 회피하였다[16]. 범유행으로 인하여 만성질환 관리가 위축됨으로써 생길 수 있는 부수적 피해는 각 영역에서 여러 해에 걸쳐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과제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만성질환 부담의 증가는 그동안 추진해왔던 만성질환 관리 노력을 회복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그동안에 미루어진 조기발견과 적정관리 수요를 충실히 파악하고 필요한 서비스가 충족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지원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에 운영해오던 감시체계에서 보완되어야 할 측면이 있는지를 살피고, 서비스 전달체계를 점검하여 새로이 개선할 요소를 찾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만성질환 고위험군의 자가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한 정보 제공과 교육의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나아가, 만성 코로나19 증후군을 포함하여,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한 주제들에 대하여 근거와 지식을 생산하기 위한 사업에 적극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Noncommunicable disease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noncommunicable-diseases

2.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CDs 2013-2020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9789241506236

3.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21. Daejeo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2.

4. Our World in Data. Coronavirus pandemic (COVID-19) 2022 [Internet] Our World in Data.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ourworldindata.org/coronavirus

5. Yang J, Zheng Y, Gou X, Pu K, Chen Z, Guo Q, Ji R, Wang H, Wang Y, Zhou Y. Prevalence of comorbidities and its effects in patients infected with SARS-CoV-2: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Infect Dis 2020;94:91-95.
crossref pmid pmc
6. Imam Z, Odish F, Gill I, O’Connor D, Armstrong J, Vanood A, Ibironke O, Hanna A, Ranski A, Halalau A. Older age and comorbidity are independent mortality predictors in a large cohort of 1305 COVID-19 patients in Michigan, United States. J Intern Med 2020;288:469-476.
crossref pmid pmc pdf
7. van Gerwen M, Alsen M, Little C, Barlow J, Genden E, Naymagon L, Tremblay D. Risk factors and outcomes of COVID-19 in New York City;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J Med Virol 2021;93:907-915.
crossref pmid pdf
8. Williamson EJ, Walker AJ, Bhaskaran K, Bacon S, Bates C, Morton CE, Curtis HJ, Mehrkar A, Evans D, Inglesby P, Cockburn J, McDonald HI, MacKenna B, Tomlinson L, Douglas IJ, Rentsch CT, Mathur R, Wong AYS, Grieve R, Harrison D, Forbes H, Schultze A, Croker R, Parry J, Hester F, Harper S, Perera R, Evans SJW, Smeeth L, Goldacre B. Factors associated with COVID-19-related death using OpenSAFELY. Nature 2020;584:430-436.
crossref pmid pmc pdf
9. Norton A, Olliaro P, Sigfrid L, Carson G, Paparella G, Hastie C, Kaushic C, Boily-Larouche G, Suett JC, O’Hara M; ISARIC and GloPID-R Long COVID Forum Working Group. Long COVID: tackling a multifaceted condition requir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Lancet Infect Dis 2021;21:601-602.
crossref pmid pmc
10.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Long COVID [Internet] Cheongju: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2 [cited 2022 Nov 1]. Available from: https://ncv.kdca.go.kr/hcp/page.do?mid=0102

11. Chen C, Haupert SR, Zimmermann L, Shi X, Fritsche LG, Mukherjee B. Global prevalence of post COVID-19 condition or long COVID: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J Infect Dis 2022;jiac136.
pmid
12. Kim Y, Bitna-Ha , Kim SW, Chang HH, Kwon KT, Bae S, Hwang S. Post-acute COVID-19 syndrome in patients after 12 months from COVID-19 infection in Korea. BMC Infect Dis 2022;22:93.
crossref pmid pmc pdf
13. Faghy MA, Owen R, Thomas C, Yates J, Ferraro FV, Skipper L, Barley-McMullen S, Brown DA, Arena R, Ashton RE. Is long COVID the next global health crisis? J Glob Health 2022;12:03067.
crossref pmid pmc
14. Mayo M, Potugari B, Bzeih R, Scheidel C, Carrera C, Shellenberger RA. Cancer scree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ayo Clin Proc Innov Qual Outcomes 2021;5:1109-1117.
crossref pmid pmc
15. Nadarajah R, Wu J, Hurdus B, Asma S, Bhatt DL, BiondiZoccai G, Mehta LS, Ram CVS, Ribeiro ALP, Van Spall HGC, Deanfield JE, Lüscher TF, Mamas M, Gale CP. The collateral damage of COVID-19 to cardiovascular services: a meta-analysis. Eur Heart J 2022;43:3164-3178.
crossref pmid pdf
16. Czeisler MÉ, Marynak K, Clarke KEN, Salah Z, Shakya I, Thierry JM, Ali N, McMillan H, Wiley JF, Weaver MD, Czeisler CA, Rajaratnam SMW, Howard ME. Delay or avoidance of medical care because of COVID-19-related concerns-United States, June 2020. MMWR Morb Mortal Wkly Rep 2020;69:1250-1257.
crossref pmid pmc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1 Crossref
  • 1 Scopus
  • 2,446 View
  • 141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Korean Med Assoc

Kidney disease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2020 January;63(1)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ARCHIV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37 Ichon-ro 46-gil, Yongsan-gu, Seoul
Tel: +82-2-6350-6562    Fax: +82-2-792-5208    E-mail: jkmamaster@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Medical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