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Med Assoc Search

CLOSE


J Korean Med Assoc > Volume 66(6); 2023 > Article
여성 방광염에 초점을 맞춘 재발성 요로감염에 대한 인식 제고의 필요성

Abstract

Background: Recurrent cystitis is a common condition affecting women, often causing discomfort and negatively impacting their quality of life. Despite the high level of morbidity, this condition is frequently overlooked due to relatively low fatality rate. This lack of adequate awareness about recurrent cystitis has led to increased healthcare costs, inappropriate utilization of medical resources, and growing antibiotic resistance.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raise awareness and improve the strategies employed for managing recurrent cystitis.
Current Concepts: The socioeconomic burden imposed by recurrent cystitis is substantial, with billions of dollars spent worldwide every year on its diagnosis and treatment. Unnecessary emergency room visits and loss of labor due to illness further exacerbate the costs. Additionally, recurrent cystitis significantly diminishes patients’ quality of life, leading to psychological challenge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Recent research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underlying conditions and modifying lifestyle behaviors, in addition to actual treatment, to improve patients’ quality of life.
Discussion and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various strategies to raise awareness and foster interest in recurrent cystitis. These include patient education, public awareness campaigns, healthcare professional training, online resources, and research collaboration. By increasing awareness and adopting a proactive approach to managing recurrent cystitis, we can improve patient outcomes and enhance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healthcare system, ultimately benefiting patients, medical staff, and society as a whole.

서론

요로감염은 지역 사회에 널리 퍼져 있으며, 여성에게 가장 흔한 세균 감염 중 하나이다. 건강한 여성에서 요로감염은 일반적으로 단순 급성 방광염의 형태로 나타나며, 10%는 적어도 1년에 한 번, 60%는 일생에 한 번 발생한다[1]. 결과적으로 요로감염은 건강한 여성에서 항생제 사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국내에서 시행된 최근 한 연구에서 처방된 항생제의 약 13.1%가 요로감염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 단기간 항생제 치료를 통한 높은 완치율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30-50%가 6-12개월 이내에 요로감염 재발을 경험하며 감염 빈도가 높아질수록 재발 가능성이 높아진다[3-5].
재발성 요로감염은 여러 진료 지침에서 6개월 이내에 2회 이상 또는 1년 내에 3회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정의된다[6,7]. 1년에 3회 이상 재발성 방광염을 경험하는 것은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잦은 불편함을 호소해 의료진의 부담도 가중된다. 재발성 방광염을 관리함에 있어 의료인들은 체계적인 예방 조치를 취하기보다는 반복적인 항생제 처방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유사하게 환자들도 재발성 방광염의 빈도를 줄이기 위해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조언을 구하기보다 떠도는 속설에 의존하여 비과학적인 예방 조치를 취하거나 단순히 항생제 처방만을 원하는 경우가 많다[8].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항생제 오남용 및 내성 증가, 불필요하고 빈번한 응급실 방문, 의료비 상승 등 여러 문제에 기여하게 된다[9,10]. 이 논문에서는 여성 방광염에 초점을 맞춘 재발성 요로감염에 대한 인식 제고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전략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여성의 재발성 방광염의 관리와 예방, 치료 전략을 개선하고,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지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재발성 요로감염에 대한 인식 제고의 중요성

1. 재발성 방광염의 사회-경제적 질병 부담

단순 요로감염의 개별 사례의 경제적 부담은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이러한 감염의 높은 유병률과 빈번한 재발로 인해 상당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요로감염의 진단 및 치료 비용은 매년 수십억 달러로 추정되며 미국에서만 연간 약 20억 달러가 소요되고 있다[11,12]. 특히 요로감염 환자의 과도한 응급실 이용은 의료시스템에 부담을 주고 있다. 미국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요로감염으로 인한 외래 진료 1,080만 건 중 230만 건이 응급실 방문이었고, 80%는 입원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13]. 이러한 의료 서비스의 부적절한 이용은 의료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며 재발성 방광염 환자에 대한 교육과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의료 서비스와 관련된 직접 비용 외에도 질병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또는 손실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도 고려해야 한다. 최근 유럽 5개국(독일, 스위스, 폴란드, 러시아, 이탈리아)에서 재발성 방광염 환자의 사회적 기회비용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여성은 재발성 방광염으로 평균 3-4일의 병가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14]. 이러한 무형의 비용을 재정적인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정량화하는 것은 어렵지만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재발성 방광염으로 인한 심리적, 정서적 고통은 더 많은 사회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2. 재발성 방광염이 환자의 삶의 질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방광염의 흔한 증상인 배뇨통과 배뇨곤란은 젊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난다[15,16]. 이러한 증상을 반복적으로 일으키는 재발성 방광염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고 궁극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17]. 최근 영국에서 실시된 인터넷 기반 조사에서는 방광염이 일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18]. 절박감과 같은 증상은 중증도와 관계없이 수면을 방해하여 방광염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만성피로와 불안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한 여성들은 재발성 방광염으로 인한 육아, 병가 등의 활동 제한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삶의 질 저하를 측정하기 위해 객관적인 설문지를 활용하지는 않았지만, 재발성 방광염이 일상생활 전반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18].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SF-36 설문지를 사용한 다른 연구에서는 예상대로 급성 방광염 환자가 건강한 사람에 비해 SF-36 점수가 상당히 낮았다는 것을 발견했다[19,20]. 적절한 치료는 진단 당시 점수와 비교하여 치료 후 SF-36 점수가 상당한 개선됨을 입증하여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밝혔다[20]. 반면 임상적 치료 실패는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보여 성공적인 치료와 환자의 삶의 질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했다[21]. 이는 치료 실패를 자주 경험하는 재발성 방광염 환자가 단순 방광염 환자보다 삶의 질이 더 나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만성 변비와 카페인 섭취 등의 요인도 재발성 방광염 환자의 삶의 질 저하에 기여했다[22]. 이러한 결과는 재발성 방광염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제 치료와 함께 근본적인 상태를 파악하고 생활 습관을 수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재발성 방광염이 전반적인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필연적으로 환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17]. 특히 재발성 방광염 환자는 재발하지 않는 환자에 비해 높은 불안 수준을 보인다[23]. 최근 연구에서도 재발성 방광염과 우울증 사이의 연관성이 확인되었는데, 재발성 방광염 환자의 약 62%가 어느 정도의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었다 [17]. 또한 이러한 환자들은 급성 방광염 사례에서 관찰되는 단기적인 신체 활동 제한과 달리 치료 후에도 지속적인 심리적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14]. 이러한 결과는 재발성 방광염 환자에게 방광염 치료와 더불어 심리적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또한 효과적인 예방적 치료가 재발성 방광염 환자의 불안 및 우울 증상을 호전시키므로[17], 심리적 지지와 적절한 예방 조치가 필수적이라고 여겨진다[15].

3. 재발성 방광염에 대한 의사와 환자의 인식 차이

위와 같이 재발성 방광염이 의료체계와 환자에 미치는 질병 부담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의료진은 재발성 방광염을 심각하게 인식하지 않는다. 이는 국내 의료진 대부분이 진료 환경에서 방광염이라는 질환이 그들의 우선 관심순위가 아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무엇보다 의료진은 재발성 방광염을 개별로 발생하는 단순 방광염으로 간주하고 재발성 질환으로 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방광염이 재발되었음에도 대부분을 급성 단일 에피소드로 간주하여 재발에 대한 치료 전략을 환자에게 제공하기보다는 반복적인 항생제 치료를 제공할 뿐이다[14]. 한 보고에 의하면 의료진은 환자가 평균적으로 4-5회 감염을 경험할 때까지 예방요법을 시작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았다[24].
이에 반해 재발성 방광염을 앓는 환자들은 진료의 목적이 급성기 치료보다는 재발에 초점을 맞추기를 원하고 있다. 한 보고에 따르면 재발성 방광염 환자들은 의료 전문가를 만나기 전에 이미 그들 스스로 다양한 방법의 예방법을 시도하는 경우가 2/3에 달하였다[14]. 또 다른 설문조사 연구에 의 면 모든 환자들은 항생제 대신,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기꺼이 받아들일 것이라고 응답하였다[23]. 이는 환자들이 그들의 재발성 질환에 대한 다양한 예방요법에 대한 자문을 구하는 경우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위의 언급과 같이 의료진은 예방요법보다는 급성기 치료에만 집중하게 되니 환자들의 예방요법에 대한 자문은 소홀해지기 마련이다.
최근 들어 환자들은 항생제 내성 발생 위험과 항생제로 인한 부수적 손상을 줄이기 위한 항생제 관리의 중요성을 점차 인식하고 있다. 재발성 방광염 환자들의 그룹 토론을 통해 그들의 현재 재발성 방광염 치료 전략에 대한 관점을 집중적으로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환자들은 재발성 방광염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항생제 복용과 관련한 부작용에 두려움이 있었으며 한편으로는 단지 ‘의사들은 그저 항생제를 던진다’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의료진에 대한 좌절을 호소하였다[25]. 이에 의사는 환자에게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하고 관리하는 전략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비항생제 예방법을 연구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무엇보다 재발성 방광염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개선이 필요한 이유이다.

재발성 방광염 인식 제고를 위한 전략과 방법

재발성 방광염에 대한 인식 제고는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 사회적, 경제적 부담 감소를 위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대중과 의료진의 인식을 개선하고 둘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의료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재발성 방광염의 진료 환경을 제공하는 다양한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및 워크숍은 재발성 방광염 진단, 치료 및 관리에 대한 높은 인식 수준을 갖추고, 최근 연구 및 지침을 활용하여 환자에게 최선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대중 인식 캠페인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관련 학회 및 의료기관은 미디어, 학술 행사 혹은 인식 개선 캠페인 사업을 통해 일반인들이 재발성 방광염의 증상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조기에 의료기관을 찾을 수 있도록 권장하도록 한다. 나아가 요로감염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일반인의 방광염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자 및 의료진들이 관련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 앱, 재발성 방광염 관련 리플렛 등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http://recap-cystitis.kr) (Figure 1). 재발성 방광염에 초점을 맞춘 정보 제공을 위한 다양한 도구의 개발은 환자와 의료진의 재발성 방광염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어 환자의 요구와 의사 인식 사이에 간극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 개발된 재발성 방광염 인식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그동안 웹사이트 기반의 다양한 요로감염 관련된 프로그램이 소개되었다. 다만 이들은 개별 지역이나 의료기관 등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프로그램이며 재발성 방광염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요로감염 전반을 다루는 정도였다. 이에 최근 2021년에 재발성 방광염에 초점을 맞춘 재발성 방광염 인식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Recurrent Cystitis Awareness Program)이 출범되었다. 이는 한 외국 제약회사의 후원으로 전 세계 14명의 요로감염 전문가들이 모여 위원회를 구성하고 재발성 방광염의 진단 및 관리, 예방에 대한 최신 정보를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환자와 의료인 모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웹사이트를 오픈하였다(https://recap-cystitis.com) (Figure 2). 환자를 위한 페이지에는 실제 12명의 재발성 방광염 여성 환자들의 실제 경험을 담은 인터뷰가 실려 있으며, 재발성 방광염에 관한 사실과 속설 및 잘못된 상식들에 대해 쉬운 이해를 돕는 인포그래픽을 통해 소개하고 있다(Figure 2). 의사를 위한 페이지에는 인식 변화의 필요성과 방법들을 소개하고 재발성 방광염 치료의 최신 가이드라인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병원 내 교육에 사용되는 대화형 pdf 파일 및 재발성 방광염 및 주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가의 비디오 인터뷰도 제공되고 있다. 무엇보다 최근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의 노력으로 한국어 번역을 완료하여 현재 해당 사이트에서 한글로 번역된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어 실제 의료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http://recap-cystitis.kr) (Figure 2).

결론

재발성 방광염은 높은 이환율에도 불구하고 치사율이 낮아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잦은 증상 재발은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의료자원의 오용으로 이어져 의료시스템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이 문제는 사회경제적 웰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인식의 개선 없이는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항생제의 반복적이고 부적절한 사용은 항생제 내성을 악화시키므로 의료진은 재발성 방광염 환자에서 진단, 예방 및 관리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뿐만 아니라 적절한 항생제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재발성 방광염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노력은 환자, 의료 제공자 및 일반인의 관심을 높여 재발성 방광염에 대한 관리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환자 및 의료 전문가 교육도구 개발, 대중 인식 캠페인 등을 통한 재발성 방광염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효과적인 전략을 구현함으로써 재발성 방광염 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는 환자, 의료진 및 사회 전체에 도움이 될 것이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1.
Leaflet for patients regarding recurrent cystitis. Adapted from http://recap-cystitis.kr, according to Copyright terms and conditions from OM Pharma.
jkma-2023-66-6-336f1.jpg
Figure 2.
(A) Contents of Recurrent Cystitis Awareness Program in website. (B) Infographic presenting facts and myths about recurrent cystitis for patients. Adapted from http://recap-cystitis.kr, according to copyright terms and conditions from OM Pharma.
jkma-2023-66-6-336f2.jpg

References

1. Nicolle LE. Uncomplicated urinary tract infection in adults including uncomplicated pyelonephritis. Urol Clin North Am 2008;35:1-12. v.
crossref pmid
2. Park SY, Moon SM, Kim B, et al. Appropriateness of antibiotic prescriptions during hospitalization and ambulatory care: a multicentre prevalence survey in Korea. J Glob Antimicrob Resist 2022;29:253-258.
crossref pmid
3. Hooton TM.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in women. Int J Antimicrob Agents 2001;17:259-268.
crossref pmid
4. Foxman B. The epidemiology of urinary tract infection. Nat Rev Urol 2010;7:653-660.
crossref pmid pdf
5. Foxman B. Urinary tract infection syndromes: occurrence, recurrence, bacteriology, risk factors, and disease burden. Infect Dis Clin North Am 2014;28:1-13.
pmid
6. Lee SJ, Choe HS, Na YG, et al. 2017 guideline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urogenital tract infection and inflammation: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Urogenit Tract Infect 2017;12:7-14.
crossref pdf
7. Anger JT, Bixler BR, Holmes RS, Lee UJ, Santiago-Lastra Y, Selph SS. Updates to recurrent uncomplic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in women: AUA/CUA/SUFU Guideline. J Urol 2022;208:536-541.
crossref pmid
8. Sosland R, Stewart JN. Management of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s in women: how providers can improve the patient experience. Urology 2021;151:8-12.
crossref pmid
9. Sammon JD, Ghani KR, Sukumar S, et al. 1062 socioeconomic trends and utiliz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reatment of urinary tract infections. J Urol 2013;189((4S):e436.
crossref
10. Kim D, Ahn JY, Lee CH, et al. Increasing resistance to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fluoroquinolone, and carbapenem in gram-negative bacilli and the emergence of carbapenem non-susceptibility in klebsiella pneumoniae: analysis of Korean Antimicrobial Resistance Monitoring System (KARMS) data from 2013 to 2015. Ann Lab Med 2017;37:231-239.
crossref pmid pmc pdf
11. Foxman B. Epidemiology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cidence, morbidity, and economic costs. Am J Med 2002;113 Suppl 1A:5S-13S.
crossref pmid
12. Markowitz MA, Wood LN, Raz S, Miller LG, Haake DA, Kim JH. Lack of uniformity among United States recommendation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ute, uncomplicated cystitis. Int Urogynecol J 2019;30:1187-1194.
crossref pmid pdf
13. Schappert SM, Rechtsteiner EA. Ambulatory medical care utilization estimates for 2007. Vital Health Stat 13 2011;(169):1-38.
pmid
14. Wagenlehner F, Wullt B, Ballarini S, Zingg D, Naber KG. Social and economic burden of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s and quality of life: a patient web-based study (GESPRIT). Expert Rev Pharmacoecon Outcomes Res 2018;18:107-117.
crossref pmid
15. Bent S, Nallamothu BK, Simel DL, Fihn SD, Saint S. Does this woman have an acute uncomplicated urinary tract infection? JAMA 2002;287:2701-2710.
crossref pmid
16. Hooton TM. Clinical practice. Uncomplicated urinary tract infection. N Engl J Med 2012;366:1028-1037.
crossref pmid
17. Renard J, Ballarini S, Mascarenhas T, et al. Recurrent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s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patient quality of life: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fect Dis Ther 2014;4:125-135.
crossref pmid pmc
18. Flower A, Bishop FL, Lewith G. How women manage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s: an analysis of postings on a popular web forum. BMC Fam Pract 2014;15:162.
crossref pmid pmc pdf
19. Ellis AK, Verma S.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is benign disease a misnomer? J Am Board Fam Pract 2000;13:392-397.
crossref pmid
20. Ernst EJ, Ernst ME, Hoehns JD, Bergus GR. Women’s quality of life is decreased by acute cystitis and antibiotic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treatment. Health Qual Life Outcomes 2005;3:45.
crossref pmid pmc pdf
21. Abrahamian FM, Krishnadasan A, Mower WR, Moran GJ, Coker JR, Talan DA. The associ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with cure an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ith acute uncomplicated cystitis. Infection 2011;39:507-514.
crossref pmid pdf
22. Ennis SS, Guo H, Raman L, Tambyah PA, Chen SL, Tiong HY. Premenopausal women with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s have lower quality of life. Int J Urol 2018;25:684-689.
crossref pmid pdf
23. Pham TT, Chen YB, Adams W, Wolff B, Shannon M, Mueller ER. Characterizing anxiety at the first encounter in women presenting to the clinic: the CAFÉ study. Am J Obstet Gynecol 2019;221:509.
crossref
24. REcurrent Cystitis Awareness Program (RECAP). Accessed May 1, 2023. https://recap-cystitis.com/hcp/disease-burden

25. Scott VC, Thum LW, Sadun T, et al. Fear and frustration among women with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s: findings from patient focus groups. J Urol 2021;206:688-695.
crossref pmid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Scopus
  • 2,096 View
  • 225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Korean Med Assoc

Diagnosis and Treatment of Recurrent Cervical Cancer2007 September;50(9)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ARCHIV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37 Ichon-ro 46-gil, Yongsan-gu, Seoul
Tel: +82-2-6350-6562    Fax: +82-2-792-5208    E-mail: jkmamaster@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Medical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