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Med Assoc Search

CLOSE


J Korean Med Assoc > Volume 67(1); 2024 > Article
산림치유가 임산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의학적 관점과 제언

Abstract

Background: The health promoting benefits of greenness exposure were addressed before, during, and after pregnancy. Addressing the low-birth-rate issue of Korea, this review focuses on forest-based interventions to assess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pregnant women in green environments,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t also proposes the utilization of green environmental resources as a strategy to improve maternal health and address the low-birth-rate issue.
Current Concepts: Keyword search was done using PubMed, Web of Science,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databases manually for references of retrieved papers until September 2023. Keywords included forest, greenness, and antenatal education. Of 107 potentially relevant papers related to prenatal education in forest or green environments, 12 papers were finally analyzed (comprising six domestic and 6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Overall, these papers showed at least moderate levels of bias. This review explored the influence of green spaces, forest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pregnant women. When analyzing pregnancy outcomes about green environments,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became evident due to age, location, sample size, study design, and female participation rate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primary assessment tools focused on mental health, stress levels, quality of life, and overall psychological wellbeing. Domestic studies emphasized stress, anxiety, life satisfaction, inner peace, and maternal identity during pregnancy, while international research underscored the positive impact of green environments on pregnancy outcomes.

서론

모자보건정책 수립의 기초이며 건강의 주요 지표로서 모성사망률은 일반적으로 국가의 산모 및 기타 의료서비스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세계적인 모성사망률은 2000과 2020년 사이에 34%의 감소를 보였음을 보고하였고, 이중 95% 정도가 저소득국가에서 있음을 알렸다[1]. 그리고 2020년 임신과 관련된 예방 가능한 원인으로부터 매일 약 800명의 가임기 여성이 사망함을 보고하였다[2,3]. 모성사망의 원인은 산후출혈, 산후 감염, 임신 중 고혈압, 분만과 관련된 합병증, 그리고 안전하지 못한 유산 등으로 이야기한다. 대부분의 모성사망은 예방 가능하고, 임신 중 또는 출산 시에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는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최근 전 세계는 저출산 현상의 장기화와 급속한 인구고령화 문제로 인해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인구절벽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인구절벽은 생산 및 소비감소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으로 심각한 경제위기 및 국가의 지속 가능성의 위기를 유발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가임기 동안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를 의미하는 합계 출산율은 2002년 1.17명에서 2022년 0.77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4]. 초혼 연령의 상승, 여성의 경제활동 및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감소되는 출산율의 원인으로 이야기한다.
임신모와 영아 건강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와 문헌이 있다. Barker 이론에 의하면 임신 중 임산부 건강, 즉, 영양상태, 비만, 임신성 당뇨 등에 대한 빠른 중재는 태아와 신생아의 건강에 큰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5,6]. 오늘날 산전관리와 모자건강결과에 대한 관련성에 대한 체계화된 산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산전교육프로그램에는 임신 중 정기검진을 포함한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관리나 건강증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건강한 출산을 위한 옛날부터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임신 동안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다양한 임신관련 프로그램이 있다. 특히 일상생활형의 식습관, 운동 등 행동에 대한 교육과 실천은 임신과 관련된 부정적 결과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내용을 전통적으로 태교라 일컫고 있는데, 태교는 임신 중에 태아에게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한 임신부의 정서적·심리적·신체적 태중 교육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태교는 건강한 태아를 출산하기 위해 필요한 임신 중의 영양과 생활습관에 관한 관리에 중점을 둔 반면, 최근에는 임신 중 정서적인 부분을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임신부들은 임신 초기의 입덧, 피로감, 임신 말기의 분만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되는 등 임신에 대한 신체적 경험뿐만 아니라 정신적·심리적·경제적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중요한 경험을 하게 된다. 또한 짧은 임신기간 동안의 상대적으로 큰 신체적 변화에 대한 부적응은 우울, 스트레스, 불안, 자아존중감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많은 부모들은 건강한 태아는 전통적인 산전 관리를 통해 임산부의 심신과 소통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믿고 있다. 최근 임신기간 중 녹지공간에서 다양한 산전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숲태교’라 하여 인구의 90% 이상이 도시에 사는 한국에서 미세먼지, 도시열섬과 같은 열악한 도시환경에서 이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고, 이들 연구를 통한 숲태교가 임산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우리나라는 제4차 산림기본계획(1988-2007)을 시행하는 중, 1973년부터 시작된 조림녹화 사업의 성공으로 ‘울창한 숲과 사람이 공존하는 풍요로운 녹색국가’를 구현하는 산림복지의 개념과 생애주기에 따른 산림복지 정책을 수립하였다. 2015년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 공표하였고, ‘산림문화·휴양, 산림 교육 및 치유’의 4대 핵심을 가진 산림복지를 구현하고자 하였다[7].
이에 저출산 극복의 일환으로 국내외의 녹지 환경을 이용한 임산부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관리에 대한 오늘날의 실정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고, 모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녹지환경자원을 이용한 개선 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산림환경자원 활용과 임산부 관리에 대한 문헌고찰: 연구 설계 및 결과

PubMed, Web of Scienc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통해 산림(forest), 녹지(greenspace, greenness), 숲(forest), 임신(pregnancy), 산전교육(antenatal education, prenatal education)의 중심어로 2023년 9월까지, 영어와 한국어를 사용하여 국내·국외 문헌을 검색하였다. 또한 검색된 논문의 참고문헌을 수동으로 검색하였고, 관련 있는 메타분석 논문 내의 논문도 검색하였다(Figure 1).
산림 또는 녹지와 관련된 산전교육에 대한 잠재적으로 관련이 있는 107개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초기 심사한 후 32개 연구의 전문을 검토하였다. 포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20개 연구를 제외한 후 12개 논문(국내학술지 6개 논문[8-13], 국제학술지 6개 논문[14-19])으로, 각 연구의 특성은 Table 1에 요약하였다[8-19]. 포함된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평가를 위해 비뚤림평가는 Risk of Bias in Non-randomized Studies of Interventions (ROBINS-I) 도구를 사용하였다(Table 2) [8-19].
국내 학술연구는 총 710명의 건강한 임신 16주부터 36주까지의 임신 여성이 참여하였고, 모두 실험대조군 연구로 이 중 4개의 연구가 숲에서 진행하는 활동에 대한 설문도구의 결과에 대한 전후 비교였다[8,10,11,13]. 숲태교 프로그램의 구성은 자연물 이용 중심(공예활동), 숲공간 이용 중심, 신체적 활동 중심으로 산림치유사 라는 전문 가이드와 같이, 걷기운동과 명상, 원예활동 같은 소도구 활동 등으로 구성 시행하였다. 각각의 활동 내용에 감성적인 이름을 붙여, 예를 들면 숲 걷기와 명상을 하는 경우 ‘숲을 공유하다’와 같이 친숙함을 표현하기도 한다. 1박 2일, 2박 3일의 숙박형의 프로그램, 또는 당일 2시간 정도의 프로그램을 반복하였고, 숲태교에 대한 임산부대상의 변형된 설문도구(임신스트레스 척도, 정서안정척도, 삶의 행복감, 마음챙김 연구도구, 심리적 안정감 도구, 모성정체성 등)를 사용하여 임산부의 정신적 건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8,9,20]. 그러나 녹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고, 단지 숲의 이름만 나타내었다. 설문도구에 의한 임신에 관련된 결과는 통계적인 의의와 경향성으로 표현되었다. 즉, 숲태교 프로그램을 녹지 공간에서 실시한 경우 스트레스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8,10]. 정서적 안정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이고, 정서 안정성, 긴장·불안, 근심과 두려움 등이 긍정적으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9,10]. 삶의 행복감은 긍정적인 경향성을 보였다[8]. 신체적 효과는 움직임 즉, 걷기 등을 통한 심혈관계 개선과 유산소성 향상 등을 보였다[11].
국제 학술논문은 4개의 코호트 연구[16,17,19]와 2개의 임상연구[14,15]였다. 다양한 나라 즉, 미국, 중국, 영국, 한국, 뉴질랜드에서 수행한 연구들은 녹지 노출과 산전건강 및 출산 결과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이미 구성된 코호트를 중심으로 계산된 녹지(예, 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나 대기 환경(예, 미세먼지 농도 PM)을 구분하여 17,065명 임신 여성에 대하여 임산부의 주의력[14], 감정[15,19], 전반적인 건강설문과 신체활동에 대한 설문[16], 탯줄에서의 코티솔(cortisol) 레벨을 통한 임산부 스트레스 측정[17], 그리고 영아의 신경발달지수[18]를 통한 녹지와 임신 결과와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결론은 녹지 환경은 공기오염 등 공기 질과 문명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임신 결과인 저체중 출산, 조산 등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산림환경자원 활용과 임산부 관리에 대한 문헌고찰: 논의

녹지 환경의 활용이 임산부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의학적 관점에서 녹지의 개입방법과 임산부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한 중재방법에 대한 체계적 문헌 검토는 처음 시도되는 것이다. 여기서 녹지 노출, 산림에서의 활동, 임신과 관련된 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그리고 임신 중 여성의 신체적·심리적 변화에 대해 기술하였다. 녹지 환경과 관련된 임신 결과에 대한 연구에서 연령, 국가, 참가자 수, 연구 설계 등의 요인으로 국내 연구와 국외 연구가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사용된 건강 효과 평가 도구는 주로 정신건강 상태, 스트레스 수준과 삶의 질, 전반적인 정신건강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다. 국내연구는 임신 중의 스트레스, 불안, 삶의 만족도, 마음의 평온, 그리고 모성 정체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국외연구에서 녹지 환경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밝혀냈다.
임신 여성이 받는 산전교육에 대해서 이전의 연구에서 체계화된 출산수업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름의 교육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는 산모 출산에 대한 수업, 출산 준비 과정, 사회적 지원 프로그램, 음악 치료 세션을 통한 임신 중재, 정서적 사회적 지원 프로그램, 점진적 이완 프로그램, 조기 개입 프로그램, 건강한 출생 프로그램, 출산 준비 수업, 산전 출산 및 부모 교육, 산전 자기최면 훈련, 정서적 웰빙을 위한 출산교실, 엄마와 아기 프로그램, 둘라(doula)를 출산 동반자로 하여 지속적인 노동 지원을 위한 출산 교육, 산전교육 프로그램, Ready for Child 프로그램, 신생아 사회적 지원 프로그램, 육아 동맹, 인지적 대처, 양육 기술, 가정 기반 교육, 심리 교육적 개입, 마음챙김 기반 출산 및 양육 프로그램 등이 있다.
산전교육의 효과는 신체적인 면에서 분만 중 통증, 통증 조절을 위한 진통제 및 경막외 마취 사용, 제왕절개 출산율 및 산후 합병증의 임신 결과로 연구에서 보고하였고, 이는 긍정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21]. 숲태교에서는 정신건강의 효과검증을 위한 도구는 크게 정신건강증상, 스트레스와 삶의 질, 전반적 정신건강에 대한 것으로 다양한 측정 방법이 사용되었다. 결과적으로 임신과 관련된 정신적인 결과로 불안, 스트레스, 우울증, 자기효능감, 출산 경험에 대한 만족도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숲태교를 통해 산모의 스트레스와 자기 효능감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으나, 불안, 우울, 출산 경험 만족도는 교육적 중재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한 체계적 검토에서는 숲태교는 아니나 예방적 산전교육의 개입이 산모의 임신 중 고통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22]. 일반 장소에서 산전교육과 숲태교에서의 산모의 건강에 대한 결과를 본 것은 없었으며, 또한 숲태교에서도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행위시행에서의 숲의 역할에 대한 설명과 임산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은 없었다.
우리나라의 많은 부모들은 건강한 태아는 전통적인 산전관리인 ‘태교’를 통해 임산부의 심신과 소통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믿고 있다. 또한 임신 기간 동안 녹지공간에서 다양한 산전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임산부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최근 보고되었다[9,12,21]. 녹지 환경은 정신건강 향상, 사망률 및 질병 발병률 감소, 비만율 감소, 제2형 당뇨 및 고혈압 발병률 감소, 그리고 임신 관련 합병증 발생률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녹지에서 생활한 임산부의 자녀가 보다 건강한 체중으로 태어나며, 이러한 영향은 청소년 시기에도 이어진다. 한편, 녹지에서 먼 거주지에 사는 임산부는 조산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녹지는 또한 정신적 건강과 인지 기능 향상, 심혈관 질환 발병률 감소, 제2형 당뇨 발병률 감소, 사망률 감소에도 긍정적인 임상적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숲태교”라는 산림치유가 산전교육 프로그램으로 특별히 개발되었으며, 녹지 노출이 산전 건강 및 출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여 신체적·정신적 이점을 알려준다[21,23]. 보고서의 대부분은 정신건강 결과(주로 우울증, 정서상태)를 평가한 국내 사례연구로 신체건강 결과는 의학적인 면이 매우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특히 산림이 주는 임신에 대한 건강영향에 대한 적절한 평가는 매우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신체 활동 및 사회적 상호 작용과 같은 다른 요인도 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건강 결과를 검증 및 평가하고 기본 메커니즘을 규명하려면 추후 연구에서 대기 오염 및 문명과 관련된 녹색 환경이 다양한 산모의 건강 및 출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 임상 시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제정된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에서 산림치유를 ‘향기, 경관 등 숲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치유환경 요소를 활용하여 몸의 면역력 증강 및 심신 건강을 증가시키는 활동’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산림청에서는 행정적인 면에서 ‘산림치유는 경관, 테르펜(terpene), 음이온 등 다양한 물리적 환경요소를 가지고 있는 숲을 이용하여 인간의 심신을 건강하게 만들어 주는 자연요법의 한 부분으로,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ㆍ심리적 효과를 과학적·의학적 성과를 기반으로 체계적 프로그램을 통해 검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산림을 심신치유에 활용한다’라고 하였다[24].
산림치유인자는 대표적인 피톤치드를 비롯한 향기, 경관, 음이온, 식물, 온습도, 햇빛 등 자연요소를 일컫는다[25]. 좀더 구체적으로는 생물적 요소, 오감요소, 지형운동요소, 기후물질요소, 심리적요소, 사회적 요소로 구분하여 예를 들어 숲속 야생화, 나무 종류, 자연경관, 숲의 향기, 숲의 경사도, 명상터, 공기, 온도, 명상, 자기성찰, 이해와 배려, 대화 등을 제시하기도 한다[25,26].
이전의 연구에서 녹지 환경과 임신 결과 사이의 긍정적인 연관성을 보기위해 사용되는 중재 도구에서의 다양성에 특정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정신적·신체적 결과를 보기 위한 중재방법을 비롯하여 녹색도 측정 방법인 NDVI는 개인 정원이나 공공 공원과 같은 식물의 종류와 용도를 결정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고 한다. 임산부의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은 환경의 영향을 상당히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22], 산림치유의 작용 메커니즘은 여전히 명확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 이것은 산림의 다양한 치유인자가 너무 많아서 이들의 작용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변수로 활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작업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를 종합해 보면, 산림이 인간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때 치유 물질(피톤치드 등), 치유 환경(경관, 자연의 소리 등), 그리고 산림에서 수행되는 활동(운동, 명상 등) 등 치유인자들이 중요하게 작용함이 분명해진다.
자연 환경에서 규칙적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은 거의 위험이 없으며 비용 효율적이며, 자기 개발에 도움이 되는 즐거운 활동이다[27]. 자연 환경에서 다양한 즐거운 활동을 할 수 있다. 야외 활동으로 걷기, 나뭇잎 돌 수집하기, 새소리 바람 소리 듣기, 원예, 애완동물과 놀기 등이 있다. 임신부는 의료 시설에서 산전관리를 받고 출산 교육 수업을 듣거나 때로는 산전 검사를 받는 등의 시간을 보내게 되는데, 이러한 환경을 자연의 회복력을 이용한다면 임신부의 더 나은 웰빙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일 것이다. 즉, 의료 시설 내나 근처의 아트리움이나 정원, 가능한 자연 경관을 볼 수 있는 분만 교육 강의실, 대기실 및 병실, 수족관과 식물을 대기실과 교실에 놓을 수도 있다. 자연 환경으로부터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대한 효과를 볼 때 이를 정기적인 산전교육과 같이 설계한다면 임신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배가 될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방법과 중재방법이 임신부의 특성을 고려한 신체적 정신적인 임신 결과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하고, 녹지 환경의 이점을 임산부 건강과 관련하여 평가할 수 있는 의학적 근거기반의 연구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결론

녹지 환경에서의 활동은 임산부에게 스트레스 감소, 우울감 개선 등의 정신적·정서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녹지 환경과 관련된 임산부의 산전교육에 대한 임신 결과를 살펴보기에는 신체적·정신적면의 의학적 증거기반에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대상자인 임산부의 특징과 적합한 녹지 환경을 고려한 연구 설계와 의과학적 중재방법에 대한 광범위 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funded by the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grant number:2021384A00-2123-0101), and I express my gratitude for the support from the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the Korean Medical Women’s Association.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1.
Flow diagram of the search strategy and study selection.
jkma-2024-67-1-38f1.jpg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regarding the prenatal education and greenness
Study Study design, country Health condition, no. of participants (case, control) (gestational age, wk) Duration of intervention Greenspace intervention Place Outcome measurements
Park et al. 2017 [8] Pre and posttest comparison study, Korea Healthy, 43 (16-32) One day one-nights/May to September 2017 Walking, couple gymnastics, foot bath hydrotherapy, landscape viewing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anion valley, forest) With spouse, stress scale for pregnancy, emotional stability scale, sense of happiness in life
Lee and Song 2015 [9] Case control study, Korea Healthy, 14 (7, 7) (22-27) September to November 2014 Mindfulness of pregnant wom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conducted forest prenatal program before and after/8 cycles, 90 minutes Cypress Forest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BP, HR, skin conductance level, salivary amylase, salivary cortisol
Jang et al. 2014 [10] Pre and posttest comparison study, Korea Healthy, 133 (28-38) April to December 2011 Five senses experience in the forest National forest recreation Stress scale for pregnancy
Park et al. 2012 [11] Pre and posttest comparison study, Korea Healthy, 51 (16-36) Two-days one-night/November to December 2011 Forest Yangpyeong, Paju Training Center, Gyeonggi-do BDHI, BHOP, STAI-X-1, DIS,, HRV, cortisol
Park et al. 2011 [12] Case control study, Korea Healthy, 99 (23, 76) (12-30) Psychological, auditory (music activities), visual (art activities), tactile (physical activities) National arboretum Dejection-related emotions, agitation- related emotions, maternal identity
Song et al. 2009 [13] Pre and posttest case control study, Korea Healthy, 69 (34, 39) single mom in facility April to July 2008 24 Programs Gyeonggi Beck depression inventory, self-esteem scale
Stark 2003 [14] Clinical trial (pretest-posttest design), USA Healthy, 57 (29, 28) (26-36) Restorative activity (outdoor, indoor activity)/spend 120 minutes per week Natural environments Directed attention: digit span test, trailmaking test, category matching, errors scale, profile of mood states short form
Sun et al. 2023 [15] RCT, Beijing, China Healthy, 63 (42, 21) (8-14) April to July in 2021 Green space exposure through virtual reality/green space levels (i.e., non-green, moderate, and high)/ July to August 2020) between 10:00 AM and 3:30 PM N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BP, HR, skin conductance level, salivary amylase, salivary cortisol
McEachan et al. 2016 [16] Cohort study, UK 7,547 of ‘Born in Bradford’ cohort Quintiles of residential greenness calculated using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for 3 neighborhood sizes (100, 300 and 500 m buffer zones around participant addresses); access to major green spaces estimated as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participant address and nearest green space (>0.5 hectares) NA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Boll et al. 2020 [17] Cross-sectional study, Spain 150 of Cohort in Sabzevar, Iran June to August 2018 Residential surrounding greenspace (using 2 satellite-derived vegetation indices), residential proximity to green spaces, maternal visual access to greenspace, use of public and private green spaces, having a private garden, the number of plant pots at home NA Cortisol level in the umbilical cord blood
Kim et al. 2023 [18] Cohort study, Korea 2,596 of Mothers and children environmental health cohort 2006 to 2010 Green space using different buffer distances (100 m, 300 m, and 500 m) and air pollution (PM 2.5) NA Infant neurodevelopmental index (mental developmental index, psychomotor development)
Nichani et al. 2017 [19] Cohort study, New Zealand 6,772 of Cohort growing up in New Zealand March 2009 to May 2010 Green areas, such as parks, beaches, urban parklands/open spaces, forests, grasslands, and croplands: green space being categorized in our study as low (0% to <12%), medium (12% to <21%), high (21% to <38%), and very high (38% to 100%) NA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P, blood pressure; HR, heart rate; BDHI, Buss & Durkee hostility inventory; BHOP, Beck hopelessness scale; STAI-X-1,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DIS, dysfunctional impulsivity scale; HRV, heart rate variability; NA, not applicable (means that it is not applicable or relevant to the specific place).

Table 2.
Summary of the risk of bias assessment using ROBINS-I
Study Pre-Intervention
At intervention
Post-intervention
Overall risk of bias
Bias due to confounding Bias in selection of participants into the study Bias in classification of intervention Bias due to deviations from intended interventions Bias due to missing data Bias in measurement of outcomes Bias in selection of the reported result
Park et al. 2017 [8] Low Low Low Low Moderate Moderate Moderate Moderate
Jang et al. 2014 [10] Low Low Low Low Low Moderate Moderate Moderate
Park et al. 2011 [12] Moderate Low Low No information No information Moderate Moderate No information
Park et al. 2012 [11] Low Low Low No information No information Low Very high risk Very high risk
Lee and Song 2015 [9] Moderate Low Low Low Low Moderate Moderate Moderate
Song et al. 2009 [13] Low Low Low Low Low Moderate Moderate Moderate
Sun et al. 2023 [15] Low Low Low Low Low Low Low Low
McEachan et al. 2016 [16] Low Low Low Low Moderate Low Low Moderate
Stark 2003 [14] Moderate Low Low High risk Moderate Low High risk High risk
Boll et al. 2020 [17] Low Low Low Low Low Low Low Low
Kim et al. 2023 [18] Low Low Low Low Low Low Low Low
Nichani et al. 2017 [19] Low Low Low Low Low Low Low Low

ROBINS-I, Risk of Bias in Non-randomized Studies of Interventions.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Monitoring progress on universal health coverage and the health-relat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the South-East Asia Region-2022 update. Accessed September 1, 2023.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9789290209881

2. World Health Organization. Maternal mortality. Accessed September 1, 2023.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maternal-mortality

3. Moon H, Lee JH, Kim EH. Maternal and neonatal morbidities associated with cesarean delivery without labor compared with induction of labor around term. Obstet Gynecol Sci 2022;66:11-19.
crossref pmid pmc pdf
4. Korea Forest Service. Vital statistics (live birth, death, marriage, divorce) 2023. Accessed September 4, 2023. https://kosis.kr/eng/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

5. Barker DJ, Gelow J, Thornburg K, Osmond C, Kajantie E, Eriksson JG. The early origins of chronic heart failure: impaired placental growth and initiation of insulin resistance in childhood. Eur J Heart Fail 2010;12:819-825.
crossref pmid pmc pdf
6. Kwon EJ, Kim YJ. What is fetal programming?: a lifetime health is under the control of in utero health Obstet Gynecol Sci 2017;60:506-519.
crossref pmid pmc pdf
7. Korea Forest Service. Forest policy 2023. Accessed September 4, 2023. https://english.forest.go.kr/kfsweb/kfi/kfs/cms/cmsView.do?cmsId=FC_003574&mn=UENG_02_01_06

8. Park SH, Shin WS, Yeon PS, et al. A study on the emotional stability and well-being of the pregnant women by the forest prenatal program for couples. J Korean Inst Forest Recreat 2017;21:45-53.
crossref
9. Lee MN, Song JS. The effects of prenatal education in forest on the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egnant woman. J Korean Inst Forest Recreat 2015;19:25-34.
crossref
10. Jang SH, Koo C, Joo S. Effects of forest prenatal education program on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of pregnant women.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4;17:335-341.
crossref
11. Park BJ, Kim BY, Lim HJ, Choi YH, Joung DW, Lee JW. The stress reduction effects of forest prenatal education on pregnant women. J Recreat Landsc 2012;6:21-26.

12. Park EK, Lim YJ, Kwon MH, Lee HJ, Kim SS. The effects of the forest prenatal program using emotional rest and attachment of pregnant women. J Korean Inst Forest Recreat 2011;2011:82-93.

13. Song JH, Shin WS, Yeoun PS, Choi MD. 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unmarried mothers’ depression and self-esteem. J Korean Soc Forest Sci 2009;98:82-87.

14. Stark MA. Restoring attention in pregnancy: the natural environment. Clin Nurs Res 2003;12:246-265.
crossref pmid pdf
15. Sun Y, Li F, He T, et al. Physiological and affective responses to green space virtual reality among pregnant women. Environ Res 2023;216:114499.
crossref pmid
16. McEachan RR, Prady SL, Smith G,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depressive symptoms in pregnant women: moderating role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16;70:253-259.
crossref pmid
17. Boll LM, Khamirchi R, Alonso L, et al. Prenatal greenspace exposure and cord blood cortisol levels: a cross-sectional study in a middle-income country. Environ Int 2020;144:106047.
crossref pmid
18. Kim E, Lee W, Lee JY, et al. The effect of residential greenness during pregnancy on infant neurodevelopment using propensity score weighting: a prospective mother-infant paired cohort study. Sci Total Environ 2023;894:164888.
crossref pmid
19. Nichani V, Dirks K, Burns B, Bird A, Grant C. Green space and depression during pregnancy: results from the growing up in New Zealand stud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7;14:1083.
crossref pmid pmc
20. Ahn HL.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J Nurs Acad Soc 1985;15:5-16.
crossref pdf
21. Hong K, Hwang H, Han H, et al. Perspectives on antenatal education associated with pregnancy outcom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omen Birth 2021;34:219-230.
crossref pmid
22. Fontein-Kuipers YJ, Nieuwenhuijze MJ, Ausems M, Budé L, de Vries R. Antenatal interventions to reduce maternal distre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trials. BJOG 2014;121:389-397.
crossref pmid pdf
23. Roberts CL, Algert CS, Ford JB, Todd AL, Morris JM. Pathways to a rising caesarean section rate: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BMJ Open 2012;2:e001725.
crossref pmid pmc
24. Korea Forest Service. Forest law. Accessed September 4, 2023. https://elaw.klri.re.kr/kor_service/lawView.do?hseq=54797&lang=ENG

25. Kim KW. Theoretical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elements and application to forest therapy. J Korean Soc People Plant Environ 2006;9:111-123.

26. Hong JY, Lee JH. Analysis on activities of forest healing program in healing forests. J Korean Inst Forest Recreat 2018;22:1-9.
crossref
27. Lauver DR. Commonalities in women’s spirituality and women’s health. ANS Adv Nurs Sci 2000;22:76-88.
crossref pmid

Peer Reviewers’ Commentary

이 논문은 산림치유가 임산부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우울감을 개선하는 등 임산부의 건강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 최신문헌들을 정리한 논문이다. 임산부는 호르몬을 비롯한 신체적 변화로 인하여 심리적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 임신 1분기에서 산후 1개월까지 우울증 비율이 10% 이상이며, 출산 산모의 약 52.6%는 산후조리 기간에 산후우울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면에서 임산부의 심신 건강 지원 정책은 우리 사회의 난제인 초저출생 극복을 위한 중요한 과제다. 따라서 인근의 녹지환경을 이용한 임산부의 정서 안정 지원 프로그램은 우리 사회의 출산 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은 녹지환경을 활용한 산림치유가 임산부들의 우울과 불안 같은 정신적 및 정서적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잘 제시하고 있어 임산부를 진료하는 임상 현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정리: 편집위원회]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Scopus
  • 683 View
  • 162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Korean Med Assoc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ARCHIV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37 Ichon-ro 46-gil, Yongsan-gu, Seoul
Tel: +82-2-6350-6562    Fax: +82-2-792-5208    E-mail: jkmamaster@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Medical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