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산과 영역에서의 활용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obstetrics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Backgrou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particularly chatbot technologies such as OpenAI’s ChatGPT, is increasingly influencing healthcare by improving quality, efficiency, and accessibility. ChatGPT is already useful in clinical practice, research, and education across various medical fields. However, its use raises concerns regarding accuracy and reliability, and ethics. This article discusses the potential and challenges of ChatGPT application in obstetrics.
Current Concepts
In obstetrics, AI is being applied in several key areas. ChatGPT is useful for providing easy-to-understand information during unexpected birth situations and has been applied in diagnosis and patient management. Furthermore, it aids in patient education, clinical assessment, and research. In drug counseling, ChatGPT helps guide safe medication use during pregnancy and breastfeeding, although it also emphasizes consultations with healthcare professionals. AI has improved the interpretation of fetal monitoring and ultrasound accuracy and reduced the time required for diagnosis and potential errors. The recent launch of OpenAI’s “SearchGPT” could further revolutionize healthcare by providing real-time, tailored information and improving diagnostic precision.
Discussion and Conclusion
ChatGPT, although useful, has limitations such as potential misinformation and variability in responses. It can assist with patient inquiries; however, it cannot replace clinical judgment. AI holds significant promise for application in obstetrics; nevertheless, careful attention to ethical and regulatory issues, including patient privacy, is necessary. Future applications of AI may include personalized treatment plans, real-time monitoring, and the automation of administrative tasks, allowing clinicians to focus more on patient care. AI also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assist with complex diagnoses, and improve patient engagement and outcomes.
서론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여러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로 떠오르고 있으며, 의료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챗봇(chatbot) 기술은 AI 시스템과 채팅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대화를 나눌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의 쓰임이 확장되고 있다.
AI는 의료의 질, 효율성,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OpenAI 회사에서 개발한 대화형 AI 서비스 ChatGPT는 다양한 프롬프트에 대해 고품질의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강력한 대형 언어 모델로, 이미 여러 의료 실무, 연구, 교육에 유용하다. ChatGPT의 발전은 이미 외국의 연구에서 미국 산부인과 시험에서 인간 후보자들을 능가하는 성과를 보였고[1], 임상의들이 생성한 진단 목록과 유사한 진단 목록을 생성할 수 있는 정도 이상이며[2], 다양한 임상 영역에서의 활용도가 매우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ChatGPT의 사용에는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 윤리적 고려사항 등의 과제가 따르며, 이 논문에서는 AI 특히 대화형 AI 서비스인 chatbot, 대표적으로 ChatGPT의 산과에서의 활용에 대한 잠재력과 현재 및 앞으로의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3].
본론
현재 임상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산과 영역에서의 AI의 활용에 대하여 크게 (1) 외국 논문에서 찾아보는 산과적 임상에서의 응용 리뷰, (2) 약물 상담, (3) 진단에서의 활용, (4) GPT 최신 동향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이어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1. 외국 논문에서 찾아보는 산과적 임상에서의 응용 리뷰
ChatGPT가 예기치 않은 출산 상황에서 일반인에게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의 유용성이 제시되었고[4], ChatGPT를 산부인과 진단 및 관리에 활용한 사례도 보고되었다[5]. 초기 임신, 응급 상황, 주산기 관리, 산과적 응급, 가족 계획, 성 건강 등을 포함하여, 각 사례의 끝에 감별 진단, 원인, 해석,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질문이 입력되었을 때 ChatGPT는 사례 30건 중 27건(90%)에서 정확한 진단과 관리를 제공했다[5]. ChatGPT를 환자의 병력, 신체 특성, 생활 방식을 평가하여 맞춤형 영양 계획, 운동 프로그램, 심리적 지원 등을 제공하여 개인 맞춤형 비만 치료에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다[6].
실제 저자가 ChatGPT에 산과 영역에서의 ChatGPT 임상적 활용방안을 물었을 때도 다음과 같은 답변을 제시하였다.
1) 환자 교육 및 정보 제공
ChatGPT는 임신 각 단계별로 중요한 정보와 주의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신 초기에는 엽산 복용과 같은 영양 관리, 중기에는 태동 감지, 후기에는 출산 준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임신 중 적절한 운동, 식단, 스트레스 관리 등에 대한 구체적인 조언을 환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2) 문진 및 사전 평가
환자의 증상, 병력, 생활습관 등을 정리하고, 의사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입덧, 피로, 부종 등의 증상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병력과 증상을 바탕으로 임신 중 고위험군(예: 고혈압, 당뇨병, 조산 위험 등)을 사전에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3) 임상 지원
최신 산과적 지침과 프로토콜을 의사에게 제공하여 진료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신성 당뇨 관리 지침이나 조산 예방 전략 등의 최신지견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임신 중 안전한 약물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약물 처방 시 참고할 수 있게 한다.
4) 출산 준비 및 사후 관리
분만 전 필요한 준비 사항을 환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출산 과정에 대한 정보와 통증 관리 옵션(자연 분만, 무통 분만 등)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사후 관리 및 상담으로 출산 후 회복, 모유 수유, 산후 우울증 등의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건강 회복을 돕는다.
5) 심리적 지원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환자가 겪을 수 있는 정서적 어려움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임신 중 불안감 해소, 출산 후 산후 우울증 예방 등을 돕는 조언을 제공한다. 필요한 경우 전문 상담 서비스와 연결해줄 수 있다.
6) 의료 행정 업무 지원
환자의 임신 경과, 진료 기록, 검사 결과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예약 및 일정 관리를 도와 효율적인 진료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7) 임상 연구 및 데이터 분석
산과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임신과 출산에 대한 연구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임신 합병증의 발생률, 치료 효과 등을 분석하여 새로운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최신 연구결과나 논문을 신속히 검색하고 요약하여 의사에게 제공함으로써, 임상 의사결정에 필요한 최신 정보를 빠르게 습득할 수 있다.
2. 약물 상담
산과 영역에서 ChatGPT를 약물 상담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신 중 두통을 호소하며 진통제 사용 여부를 문의할 때, ChatGPT는 다음과 같이 답변할 수 있다. “임신 중 두통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진통제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입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소염제는 임신 중, 특히 3분기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 전 주치의와 상의하세요.”
또한 대체 약물 안내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임산부가 감기약 복용에 대해 문의할 때, ChatGPT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임신 중 감기약을 복용할 때 대체로 안전한 것으로 알려진 것은 항히스타민 계열 약제입니다. 기침과 코막힘에 대해서는 생리식염수 코 스프레이와 같은 비약물적 치료법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일부 기침 시럽과 감기약에는 피해야 할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니 복용 전 주치의와 상의하세요.”
또한 모유 수유 중 약물 사용에 대해서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유부가 항생제 복용을 고려할 때, ChatGPT는 다음과 같이 답변할 수 있다. “모유 수유 중 항생제 복용은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세팔로스포린, 페니실린, 에리스로마이신과 같은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적절한 용법과 용량의 약물 사용을 위해 항생제 사용 전 주치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의 약물 사용에서, 예를 들어 임신 계획 중인 여성이 만성질환 약물 복용에 대해 문의할 때, ChatGPT는 다음과 같이 답변할 수 있다. “임신 계획 중이라면 현재 복용 중인 약물에 대해 주치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약물은 임신 초기에 태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 약물 중 일부는 임신 중 안전하지 않을 수 있어 주치의와 상의하여 필요한 경우 대체 약물로 전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예시는 ChatGPT가 산과 영역에서 약물 상담을 통해 환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한 약물 사용을 도울 수 있는 방식을 보여준다. 현재의 ChatGPT는 비교적 정확한 정보 제공과 함께 환자가 산과 주치의와 상담하도록 권장하여, 최종 결정은 항상 의료 전문가가 내리도록 제안하고 있어 의료 영역에서의 실제 사용이 신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3. 진단에서의 활용
산과 분야에서 태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장치인 전자 태아 모니터링(cardiotocography [CTG] 또는 nonstress test)은 흔히 태동검사라고도 불리는데, 산모의 복부에 두 개의 입력 감지 장치를 놓고 하나는 태아 심박동을 감시하고, 나머지 하나는 산모의 자궁수축을 감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보는 기계를 통해 그래프로 그려져 나오며, 보통 20분 이상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이 그래프의 해석은 임상의에 따라 주관적일 수 있고, 면밀하고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AI가 그래프 해석에 도입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AI의 특성 상 피로, 주의 산만, 편견 등의 인간적 한계에 영향을 받지 않아 여러 연구들이 AI와 전자 태아 모니터링 그래프 해석을 탐구해왔으며, 향후 더 발전된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한 자동 CTG 분석 프로그램이 임상에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7]. 본원에서도 실제로 분만실 중앙 모니터에서 태아 심음의 감소나, 산모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기기 접촉이 불량할 때 알람이 울림과 동시에 deceleration, tachycardia, signal loss 등의 알림 문구가 떠서 의료진이 빠르게 이상을 감지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다.
AI는 초음파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태아 초음파는 비교적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산전 진단 방법이지만, 비만, 모션 블러(motion blur) 등으로 인해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8]. 사람이 수행하는 초음파 스크리닝은 특성상 시간이 오래 걸리고 러닝커브가 비교적 길며, 초음파 이미지 해석의 오류 가능성이 있다. AI는 몇 년 전부터 태아의 초음파 이미지에 적용되어, 태아의 신체 부위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9]. 예를 들어, 태아 머리 초음파 이미지에서 표준 스캔 평면을 자동으로 획득하여, 태아의 두위를 측정하는 등 실제 본원 산과 외래에서도 초음파 기계에서 현재 태아 초음파 실측 자동 측정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 외래에서 주치의가 모든 산모에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주고 있다.
세부적으로 나아가 태아 심초음파는 자궁 내 태아 성장 제한, 쌍태아 간 수혈 증후군, 선천성 심기형을 진단하고 모니터링 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태아의 움직임, 성인에 비해 작은 태아의 심장 크기, 빠른 정상 태내 심박수, 성인과는 다른 순환계를 가지는 다양한 특성 등으로 인해 태아 심초음파는 많은 산과 의사들에게도 수행이 쉽지 않다. 많은 연구에서 심장 구조를 세분화하는 딥러닝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10]. 그러나 아직 이러한 연구들은 임상 의사결정을 위한 적절한 이미지 평가에는 한계가 있어 다양한 선천성 심장 질환을 위한 적절한 AI 기술을 사용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7].
그 외의 다양한 연구에서 임신 주수 추정, 조산 예측, 염색체 이상 및 무증상 짧은 자궁경부 길이 예측 등에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다[7]. 최근 외국의 한 연구에서는 조산 예측 모델이 95.7%의 정확도를 보였다[11]. 2020년 세계산부인과초음파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Ultrasound in Obstetrics and Gynecology)에서는 ‘초음파 영상에서의 인공지능’ 세션을 통해 산부인과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여, 측정할 뿐만 아니라 관련 진단과 치료 방향을 제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7].
4. GPT 최신 동향: OpenAI의 SearchGPT 출시가 의료 분야에 미칠 영향
OpenAI가 최근 AI 기반 검색 엔진 ‘서치GPT’를 출시하여 의료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검색 엔진은 실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며, 의사들의 정보 접근성과 의사결정 과정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SearchGPT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시간 정보 기반 검색 기능을 통해 의사들은 최신 연구결과와 치료법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둘째, 요약된 검색 결과를 출처 링크와 함께 제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셋째, 이미지 검색 결과를 통해 의료 영상이나 진단 이미지를 쉽게 찾고 비교할 수 있어 진단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후속 질문 기능이 있어 이미 검색한 내용을 바탕으로 심화된 질문을 할 수 있어 복잡한 의료 사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맞춤형 답변을 제공하여 환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 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OpenAI는 서치GPT가 웹 정보와 AI 모델의 강점을 결합하여 관련성 있는 답변을 제공함으로써, 의료 분야의 정보 접근성과 의사결정 과정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한계와 미래 발전 방향 제시
ChatGPT는 비교적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지만, 잘못된 정보 제공, 빈도 편향, 희귀 진단의 배제, 질문 방식에 따른 응답의 변동성과 같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ChatGPT는 응급 상황에서 일반인의 질문이나 걱정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의학적 판단을 대체하지는 않는다[3]. 의료진들은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환자에게 잠재적 해를 끼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이다. 산부인과에서 AI의 잠재적 이점이 크지만, 윤리적 및 규제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며, 환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정보에 입각한 동의, AI 알고리즘의 투명성을 보장해야 한다[12].
향후 AI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밀 의학, 원격 의료, 기존 시스템 통합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더 많이 활용될 것이다[3]. AI는 환자의 의료 기록, 유전 정보, 생활 방식 등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별 환자에 맞춘 치료 계획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환자 별 최적의 치료법을 예측하고 시도와 오류를 줄여 치료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약 관리, 전자 건강 기록 관리, 검사 결과 분석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여 의료진들이 환자와의 상호작용에 집중할 수 있게 하며, AI 챗봇은 환자에게 일상적인 질문에 답변하고 교육 자료를 제공하며 자가 관리에 대한 안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임신 기간 동안 맞춤형 지원과 교육을 제공하여 산전 관리, 영양, 잠재적 합병증에 대한 필수 정보를 제공하며 AI 기반 예측 모델링은 특정 질환의 고위험 환자를 식별해 의료 제공자가 선제적인 개입과 맞춤형 상담을 제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결론
산부인과 영역에서 AI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식을 혁신하고, 환자 결과를 개선하며, 의료 전문가들이 진료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인식하며, 예측을 함으로써 산부인과 전문성을 보완해 더 정확한 진단과 맞춤형 치료 계획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12]. 진화하는 의료 환경에서 AI와 산부인과의 통합은 큰 잠재력을 보여준다. AI는 의료 교육과 훈련에서도 상호작용 학습 모듈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임상적 감별 진단과 희귀 산전 상태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다양한 전문의들에게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환자 참여도에 대해서 활용 가능성이 높아, 환자 문의에 답변을 제공해 의사결정을 돕고 의료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3].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cknowledgements
I am deeply thankful to Professor Young Ju Kim from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or suggesting this research topic. I also extend my sincere appreciation to Dr. Lee, YooKyung from Gangseo MizMedi Women’s Hospital for her insights on the latest trends in search GPT.
References
Peer Reviewers’ Commentary
이 논문은 인공지능, 특히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인 chatGPT의 산과에서의 활용 가능성과 도전 과제를 다룬다. chatGPT는 약물상담, 태동검사 판독 등 다양한 정보 제공과 임상 진단에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 출시된 ‘searchGPT’는 이러한 활용을 더욱 개선 할 수 있다. 그러나 임상 적용 시 잘못된 정보 제공과 빈도 편향 등의 한계가 있다. 저출산과 산과 인력 부족 상황에서 AI는 의료서비스 제공 방식을 혁신하고, 환자 결과를 개선하며, 의료 전문가들의 진료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chatGPT는 환자 문진, 임상의사 교육, 데이터 분석, 행정 업무 보조, 심리 상담 등 다양한 산과적 응용이 가능하며, 다른 인공지능 기술들과 함께 산과적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은 산부인과 영역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이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소개한다.
[정리: 편집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