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가 600만 명을 넘어섰다. 당뇨병의 고위험군인 당뇨병전단계의 인구가 약 1,583만 명인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 국민 2,000만 명 이상이 당뇨병 또는 당뇨병의 위험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대한당뇨병학회가 최근 발표한 Diabetes Fact Sheet in Korea에 따르면 2020년 현재 우리나라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는 약 600만 명으로, 2012년 Diabetes Fact Sheet를 통해 2050년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한 환자수(591만 명)를 30년 앞서 추월했다. 2010년 당뇨병 환자수가 320만 명임을 감안했을 때 10년 새 2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둔 가운데, 2020년 현재 전체 당뇨병 환자 중 65세 이상은 39.2%로, 특히 65세 이상 여성의 경우 2명 중 1명 이상(51.2%)이 당뇨병을 앓고 있어 노인 당뇨병 관리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당뇨병의 유병률이 급속히 증가하는 가운데, 당뇨병으로 인한 진료비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당뇨병 진료비는 2015년 약 1조 8천억 원에서 2020년 약 2조 9천억 원으로 5년 새 60% 이상 증가했다. 당뇨병은 한국인에게 질병부담이 가장 큰 질환으로, 지난 10년 동안 질병부담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뇨병 관리는 낙제점 수준이다. 당뇨병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동반질환의 비율이 높고 이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크기 때문에 당화혈색소, 혈압, 콜레스테롤 등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해야 하지만, 2020년 현재 당뇨병이 통합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환자는 10명 중 1명(9.7%)에 그쳤다. 특히, 당뇨병의 진단과 관리의 핵심 지표인 당화혈색소가 목표 범위인 6.5% 미만으로 관리되고 있는 환자는 24.5%에 불과했다. 당뇨병에 대한 인식 제고와 적극적 대책 마련이 시급한 이유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인 당뇨병의 유병률 및 치료 현황을 성별, 연령별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인 당뇨병의 유병률 및 치료 현황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표한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2에 따르면 2020년 기준 30세 이상 성인 6명 중 1명(16.7%)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었다[
1,
2]. 성별로는 남자가 17.7%, 여자가 13.6%로 남성이 여성보다 당뇨병 유병률이 더 높았다. 한편 65세 이상 노인에서는 10명 중 3명(30.1%)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었다. 당뇨병 인구(2019-2020년 통합)로 분석해보면 30세 이상 성인 중 당뇨병을 가진 사람은 526만 명이었는데, 남자가 294만 명, 여성이 232만 명으로 역시 남성 당뇨병 인구가 많았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당뇨병 인구는 많아졌는데 성별로 양상이 달랐다. 30대에는 남성이 여성보다 약 2배, 40대에는 남성이 여성의 약 3배, 50대는 남성이 여성의 약 1.5배 더 많아 남성이 여성보다 좀더 젊은 나이 특히 30-50대에 집중적으로 당뇨병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60대는 남녀 인구비율이 거의 비슷해진 후 70세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약 1.2배 더 많아졌다. 당뇨병의 연령별 분포를 좀 더 자세히 보면 남성 당뇨병 유병자는 50대가 30.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60대가 27%, 70세 이상이 19.9%, 40대가 17.6% 순이었다. 여성 당뇨병 유병자는 70세 이상이 39.7%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가운데 60대가 28.5%, 50대가 21.3%, 40대가 7.1% 순이었다. 즉 남성은 30-50대가 약 53%를 차지하는 데 비해 여성은 60대 이상이 약 68%를 차지하였다.
당뇨병전단계 유병률을 살펴보면 30세 이상 성인 약 10명 중 4명(44.3%)이 당뇨병전단계에 해당하였는데 역시 남성이 여성보다 당뇨병전단계 유병률도 높았다(47.1% vs. 41.6%). 한편 65세 이상 성인에서는 2명 중 1명(50.4%)이 당뇨병 전단계였다. 한편 성별, 연령별로 구분해보면 앞서 당뇨병과 마찬가지 유형으로 30대(남성 37.7% vs. 22.5%), 40대(49.5% vs. 31.7%)는 당뇨병전단계 유병률이 남성이 여성보다 월등히 높았다. 하지만 50대(남성 48.9% vs. 52.4%), 60대(남성 49.6% vs. 54.1%)는 여성이 남성보다 유병률이 높았다. 즉 당뇨병전단계 역시 남성이 30-40대에 여성보다 더 많아서 당뇨병예방을 위해서는 남성은 주로 50대 이전 중년으로 넘어오기 전까지 당뇨병전단계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해볼 수 있겠다.
한편 동반질환 유병률을 살펴보면 복부비만을 동반한 당뇨병 유병자가 약 63.3%였는데 여성에서 더 높은 복부비만율을 보여주었다(남성 62.2% vs. 여성 64.8%).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 중 58.6%가 고혈압을 동반하였고, 65세 이상에서는 10명 중 7명에 해당하였는데 남성에 비해 여성의 고혈압 유병률이 높았다(남성 57.9% vs. 59.5%).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의 76.1%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동반하였는데 역시 남성보다 여성의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이 높았다(남성 72.9% vs. 80.3%).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에서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모두 동반한 경우는 43.6%였는데 역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았다(남성 41.5% vs. 46.2%).
이상을 정리해보면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데 남성이 더 젊은 연령대(30-40대)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데 비해 여성은 50대 갱년기 이후 당뇨병이 많이 생기는데, 복부비만,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동반비율이 남성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당뇨병의 성별, 연령별 특성은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남성이 여성보다 당뇨병이 더 많이 발생하는데 남성의 경우 더 젊은 나이에 더 낮은 체질량지수에서 당뇨병이 발생하는데 비해[
3-
5], 여성은 폐경 전까지는 여성호르몬이 비만 및 대사질환에 방어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체중이 많이 늘어서 인슐린저항성이 심해져야 당뇨병이 발생하게 되므로 당뇨병이 발생한 여성은 복부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대사지표가 남성보다 더 나쁠 수밖에 없다[
6-
8].
폐경 이전의 여성은 주로 둔대퇴부(gluteo-femoral)에 피하지방이 축적되는 데 비해 남성의 경우는 주로 내장지방(visceral fat)에 축적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성별에 따른 지방축적분포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설 중 진화론적인 학설에 의하면 여성의 경우 분만 후 수유를 위한 열량을 축적하기 위해 둔대퇴부에 피하지방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반면 남성은 수렵활동 등을 위해 빨리 에너지원으로 분해할 수 있는 내장지방에 열량을 축적한다는 것이다[
9]. 내장지방에서 분해된 유리지방산은 간문맥을 통해서 간으로 직접 유입되는데 과도한 지방이 간에 축적되면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내장지방은 피하지방에 비해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하는 등 각종 대사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소위 남성형(android) 체형은 주로 복부비만과 내장지방 우세형이므로 인슐린저항성이 쉽게 발생할 수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정상체중 및 근육량을 유지해야 하는데 바쁜 직장생활 및 서구화된 생활습관 탓에 운동부족 및 과음, 과식에 노출되다 보면 내장지방 과다축적에 의해 당뇨병을 포함한 이상지질혈증(특히 고중성지방혈증과 저 고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혈증) 등 각종 대사질환을 갖게 되는 것이다. 반면 여성은 폐경 이후에는 여성호르몬 결핍에 의해 남성과 마찬가지로 내장지방에 주로 지방축적이 이루어지면서 비만,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등에 취약해진다.
결론 및 제언
이상에서 살펴본 당뇨병 및 당뇨병전단계 그리고 동반질환 유병률에 따르면 당뇨병예방 및 관리대책이 연령, 성별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즉 50세 이하 남성에서의 높은 당뇨병 및 당뇨병전단계 유병률에 의하면 이들에게는 당뇨병예방대책이 더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반면 여성의 경우 50세 이하 폐경 전 발생한 당뇨병 환자는 더욱더 철저한 체중관리와 동반질환 관리 그리고 당뇨병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